겨울철만 되면 손발이 차가워져서 불편함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.
그런데 단순히 추운 날씨 때문만은 아닐 수도 있는데요,
만약 평소에도 손발이 차고, 몸이 자주 피곤하거나 체중 변화가 있다면, 그 원인이 갑상선에 있을 수 있습니다.
'건강한 호박이'와 함께 갑상선과 수족냉증,증상 등에 대해 알아보고
자가테스트를 해보며 나의 상태를 체크해봐요! 🎃
갑상선은 체온, 체중, 에너지 수준 등을 조절하는 중요한 호르몬을 분비하는 장기입니다. 갑상선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, 그 중 하나가 바로 수족냉증입니다.
✔ 갑상선과 수족냉증의 관계
갑상선은 목 부위에 위치한 작은 장기입니다. 이 장기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신체의 대사와 체온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갑상선의 기능이 저하되면, 체내 에너지 생산이 느려지고,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손발이 차가워질 수 있습니다. 갑상선 기능 저하증(갑상선기능저하증)은 수족냉증 외에도 피로, 체중 증가, 변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✔ 갑상선 관련 질환의 주요 증상
갑상선의 문제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, 그 중에서 수족냉증 외에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증상들이 있습니다. 갑상선의 기능이 저하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:
- 피로감: 평소보다 쉽게 피곤해지고, 몸이 무겁고 나른한 느낌이 듭니다.
- 체중 증가: 특별한 식습관 변화가 없는데도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- 변비: 배변이 원활하지 않거나, 자주 변비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.
- 차가운 손발: 수족냉증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.
- 건조한 피부: 피부가 평소보다 건조하고, 거칠어진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.
- 머리카락 탈모: 머리카락이 빠지거나 얇아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✅ 갑상선 기능 저하증 체크리스트
위의 증상들이 갑상선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아래 체크리스트를 확인해 보시고, 요즘 급격히 아래와 같은 증상에 해당되는 항목이 많다면 갑상선 기능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
- 자주 피곤하거나 무기력함을 느낀다.
- 체중이 늘어났거나 변하지 않았는데도 체중 변화가 있다.
- 변비가 자주 발생한다.
- 손발이 자주 차고, 추위에 민감하다.
- 피부가 건조하거나 거칠어졌다.
-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거나 얇아졌다.
- 체온이 낮거나 체온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.
위 항목 중 5가지 이상에 해당된다면,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.
🧬갑상선 검사와 치료 방법
갑상선 기능이 의심되는 경우, 간단한 혈액 검사를 통해 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검사 결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확인되면,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일반적으로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하는 약물을 복용하여 치료할 수 있으며,
꾸준히 치료를 받으면 증상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.
수족냉증이 단순히 추위 때문이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지만,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.
만약 평소에 손발이 자주 차고, 다른 증상들도 동반된다면, 갑상선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. 갑상선은 신체의 여러 기능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, 건강을 위해 미리 점검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여러분의 건강을 위해, 이상 징후가 보이면 꼭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랄게요!
건강한 생활을 위해 조금 더 신경 써 보세요!
사실 일반적으로 바쁜 현대인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증상일 수 있지만,
바쁜 일상에 다른 일들도 중요하겠지만 나의 몸의 반응들도 단순히 지나치지 않고 한 번씩 살펴보고 간다면
더욱 건강한 라이프를 즐길 수 있겠죠? 🎃
우리 모두 건강해요!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암이 걸리지 않는 체질 만들기, 암 예방의 첫걸음 (0) | 2025.03.01 |
---|---|
겨울철 생굴 안전하게 먹는 법 노로바이러스 증상 및 주의사항 (2) | 2025.02.26 |
수족냉증 그냥 두면 병 된다? 혈액순환 장애 일 수도 (1) | 2025.02.25 |
효과적인 혈당 관리법 : 당뇨병에 좋은 음식 (3) | 2025.02.06 |
이 증상 당뇨병 전단계라고? 20 30대 당뇨병 유병률 증가 (1) | 2025.02.05 |